본문 바로가기
운동+건강관리

두드러기 원인과 치료

by 수아레 2020. 10. 7.
반응형

오늘은 아픈 것만큼이나 고통스러운 증상으로 피부에 가려움증을 동반한 두드러기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두드러기는 피부가 부풀어 오르고 그 부위가 계속 가려운 증상을 말하는데요, 원인도 여러 가지인 두드러기의 원인과 발진했을 때 대처법과 치료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급성 두드러기와, 만성 두드러기

급성 두드러기

두드러기의 원인에는 어떠한 특정 음식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에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 급성 두드러기라고 합니다. 주변 온도의 변화와 먹는 약으로도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하네요.

만성 두드러기

만성 두드러기는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약을 먹을 때 괜찮아졌다가 약을 먹지 않으면 다시 계속 반복적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개인적인 증상

개인적으로 저는 겨울만 되면 왼쪽 눈과 관자 놀이 사이에 두드러기가 올라오는데요, 정말 추운 칼바람이 부는 날 외출을 하게 되면 무조건 두드러기가 올라옵니다. 따뜻해지면 부풀었던 피부가 서서히 작아집니다. 

정확한 진단명은 한랭 두드러기 이구요, 오랜 기간 증상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두드러기가 만성이 되었다고 하더라구요.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 봤고, 따듯한 곳에 가면 두드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큰 문제 없이 지냅니다.


두드러기 대처하기

두드러기가 생겼다는 것은 유발 요인이 있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인데요, 땅콩이나 특정 생선을 먹고 생긴 급성 두드러기 같은 경우에는 당연히 병원을 가서 진단을 받고 약을 처방받는것이 우선이겠지만, 앞으로도 두드러기를 피하려면 무엇을 먹고 증상이 나타났는지를 확실히 파악하고 다시는 먹지 않는 것이 확실한 예방법입니다.

문제는 만성 두드러기입니다. 병원에서 두드러기 원인을 알고 치료를 받아 봤는데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반복이 된다면 이것은 만성두드러기가 되어 버린 것인데요, 알레르기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엔 항히스티아민제를 꾸준히 복용해 주어야 한다고 하네요. 그러다 보면 운 좋게 알레르기가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하니까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위험한 알레르기도 있다?

위에 언급한 알레르기 증상은 약물 치료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유발 요인을 멀리하는 것으로도 증상을 예방하거나 치료를 할수 있는데, 피부 깊은 곳에서 부터 시작되는 알레르기는 굉장히 위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data-language="ko"

단순한 알레르기는 피부 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지만, 피부 깊은 곳에서 부터 일어나는 증상은 굉장히 위험하다고 합니다. 왜냐면 점막을 붓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점막으로 이루어진 기도가 부어 버린다면 호흡곤란이 일어나기도 합니. 평소 가벼운 알레르기 증상과는 다르게, 호흡의 불편함이 느껴진다면 집에 있는 약으로 해결하려 하기보다 무조건 병원을 가셔서 응급처방을 받으셔야 합니다. 


눈이 가려워지고 붓는 증상, 입술이 붓는 증상은 알레르기로 인한 혈관부종이라고 합니다. 

이런 증상이 일어났을 때도 가볍게 생각하지 마시고 병원을 가셔야 합니다. 대부분 알레르기 증상들이 쉽게치료가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내 몸의 어딘가에 문제가 있어서 나타나는 증상일 수도 있기때문에 원인을 알기 위한 노력은 꼭! 하셔야겠습니다.


두드러기 치료

알레르기를 치료하기 위한 약은 위에서 언급했던 '항히스티아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투여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이를 가진 산모에게는 두 가지 약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때문에 바르는 약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고 하니까 산모분들 께서도 안심하고 두드러기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효과가 먹는 약에 비해 좋지 않아서 자주 발라주셔야 하는 불편함은 있다고 하니까 잘 알아 두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두드러기가 올라온 피부 때문에 가려움을 참을 수 없을 때는 차가운 물수건으로 부드럽게 마사지해주시면 좋다고 하네요.


두드러기를 가벼운 증상이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어쩌면 내 몸 어느 곳에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신호일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두드러기의 원인을 꼭 알아보길 바라는 맘으로 글을 써 보았구요, 원인을 알고 맘 편히 지내는 게 걱정거리를 하나 덜어내는 것이라, 정신건강에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모두들 건강한 하루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운동+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 예방 머리감기 샴푸법  (0) 2020.11.02
피부 미백 방법과 좋은 음식  (0) 2020.10.12
배탈 설사 응급처치법  (0) 2020.10.02
모낭염 원인 예방법  (0) 2020.09.17
손톱 세로줄과 건강  (0) 2020.09.08

댓글